회원명단 List of Members

조혜정

1994년 창립멤버.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한국영화평론가협회 25대 회장, 영화진흥위원회 위원, 한국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 한국영상자료원 이사, 가톨릭영화제 조직위원장 역임. 부산국제영화제 피프레시상, 청룡영화상, 대종상, 부일영화상 심사위원 활동. 저서 그리고 영화는 계속된다, 만추, 이만희(공저),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공저) 등.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심영섭

등록일2024-05-07

조회수2,670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이름김종원
프로필

1994년 창립멤버.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제2대 회장. 2011~현재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상임고문. 1959년 월간사상계시추천으로 문단 등장. 1959년 월간 자유공론격월간시나리오문예로 영화평론 활동 시작. 1960년 한국영화비평가협회 창립. 초대 총무간사. 1981년 제3대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1994년 청룡영화상 제1회 정영일 영화평론상 수상. 청주대학교(9),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5), 한국예술종합학교(3) 겸임교수 역임


이름장석용
프로필

1994년 창립멤버. 영화평론가, 무용평론가, 시인. 중앙대 외국어과와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피프레시 한국본부 회장, 이태리 황금금배상 심사위원, 부산국제영화제 심사위원, 대종상 집행위원, IDO 서울컵조직위원장 역임. PAF 비평상, 올해의 최우수예술인상, 한국문화예술상, 르몽드 영화평론상 수상. 신일고 영어과 교사, 경희대 신문방송학과, 동국대· 서경대 대학원에서 문화비평론 강의.


이름조혜정
프로필

1994년 창립멤버.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한국영화평론가협회 25대 회장, 영화진흥위원회 위원, 한국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 한국영상자료원 이사, 가톨릭영화제 조직위원장 역임. 부산국제영화제 피프레시상, 청룡영화상, 대종상, 부일영화상 심사위원 활동. 저서 그리고 영화는 계속된다, 만추, 이만희(공저),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공저) 등.


이름한옥희
프로필

1994년 창립멤버. '그린커뮤니케이션' 대표감독, 영화평론가. 한국 최초로 실험영화제작. ‘카이두 실험영화 페스티벌개최. 객석해외특파원 역임. 대전엑스포 정부관영상 <달리는 한국인><님의 침묵>을 연출. 종합유선 방송위원회 영화심의위원, 서울국제가족영화제 심사위원장, 영상물등급위원회 심의위원, CTN 제작본부장, 환경TV 편성이사 등을 역임.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을 지냈고, '올해의 여성영화인'(2012) 공로상 수상


이름주진숙
프로필

1995년 입회. 현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명예교수. 전 한국영상자료원 원장, ()여성영화인모임 이사, 아시아나 국제단편영화제 집행위원,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 등을 역임


이름이명희
프로필

1997년 입회. 영화평론가. 국내, 국제 매체에 기고했으며, 성균관대 등에서 영화를 강의했고, 부산국제영화제 등에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모더레이터 및 통역으로 활동. 전 국제영화비평가 연맹 한국본부 회장 역임. 프리부르영화제 심사위원장(1997), 칸영화제(1998), 안시애니메이션영화제(2000), 베를린영화제(2001), 부산영화제(2009) 피프레시 심사위원, 베를린영화제 넷팩 심사위원(1999)을 역임했다


이름김경
프로필

1998년 입회. 영화평론가. 에너지 한의원(Energy Acupuncture Inc.) 원장. 엘에이 한국영화제(KOFFLA)와 샌디에이고 한국영화제(SDKOFF) 프로그래머와 부집행위원장 역임. 한국 영화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두고 한국 영화 역사와 장르, 작가론과 배우론 등에 대한 글을 썼다. 정신과 몸에 대한 치료적 접근으로 영화와 한의학을 접목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공저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만추, 이만희>,<영화와 가족>,<영화와 정치>.


이름문학산
프로필

1998년 입회. 부산대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 영화평론가. 1997년 스포츠 서울 신춘문예로 영화 평론가 등단, 젊은 비평집단과 한국영화평론가 협회, 2001년부터 전주국제영화제 비평가 주간의 단편 심사위원으로 활동. 저서 <10인의 영화 감독 연구> (2004), <한국 단편영화의 이해>(2007), <한국 독립영화감독 연구>(2010) 등 저서가 있으며, 장편 영화 <심야토론식 연애>(2007), <다대포 극장>(2014)를 연출.


이름김선엽
프로필

2000년 입회. 영화 평론가현재 수원대 겸임교수 영화제 프로그래머. <스크린>, <시사저널>, <TV저널> 등의 취재기자.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 영상물등급위원회 비디오소위원회 심의위원, ()한국영화평론가협회 기획이사 등을 역임. 서울국제사랑영화제 집행위원이다. 박사 논문은 그람시적 시민사회로서의 한국영화 연구.


이름유지나
프로필

2000년 입회. 영화평론가,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여성인권영화제 운영위원, 여성평화 외교포럼 이사 및 검찰인권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스크린쿼터문화연대 이사장, 영화진흥위원회 위원, 공연윤리심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 영화로 세상 보기. 유지나의 여성영화산책, 공저 영화, 나를 찾아가는 여정, 역서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시나리오 작가를 위한 심리학, 말의 색채, 영화의 역사: 이론과 실제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