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명단 List of Members

이름고창수
프로필
시인, 실험영화작가(미국 Worldfest Charleston등 영화제에서 입선, 수상), 영화컬럼니스트 코리아타임즈, 인터넷TV, 문예지 등에 수시로 영화컬럼 게재
이름김경
프로필
영화평론가. 한의학 박사. 샌디에이고 한국영화제(SDKOFF) 부집행위원장, L.A. 한국영화제(KOFFLA) 사무국장. 한국영화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 대한 관심으로 한국영화 역사와 장르, 작가론과 배우론 등에 대한 논문을 썼다. 정신과 몸에 대한 치료적 접근으로 영화와 한의학을 접목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름김선엽
프로필

영화전문지 스크린, 시사주간지, 시사저널, TV저널등의 취재기자를 거쳐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다.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 영상물등급위원회 비디오소위원회 심의위원, ()한국영화평론가협회 기획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수원대 겸임교수, 서울국제사랑영화제 집행위원이다. 한국일보칼럼, 월간 에세이등 다양한 지면에 기고했다. 박사 논문은 그람시적 시민사회로서의 한국영화 연구.


이름김응교
프로필

시인, 영화평론가, 문학평론가. 현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 신동엽학회 학회장, ‘모두를 위한 기독교 영화제(Christian Film Festival For Everyone)’ 이사. 영화평론집 시네마 에피파니, 시집 씨앗/통조림, 처럼-시로 만나는 윤동주, 평론집 김수영, 시로 쓴 자서전, 韓國現代詩魅惑(東京:新幹社2007) 등이 있다. 역서로 이십억 광년의 고독(다니카와 슌타로) 등과 일본어로 번역한 고은 시선집 いまたのか: 高銀詩選集(사가와 아키 공역, 東京: 藤原書店2007)이 있다. CBS-TV <크리스천 NOW>를 진행했고, KBS <TV 책을 읽다>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MBC-TV <무한도전> 등에서 강연했다.


이름김희경
프로필

한국경제신문문화부 기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예술경영 겸임교수. 영화평론가. 만화평론가. 한국영화평론가협회 기획 간사. 이화여대 법학과, 중앙대 예술대학원 예술경영 석사,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정책 및 기획 박사 수료.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20 만화웹툰 평론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경제신문에서 김희경의 컬처insight’, ‘김희경의 콘텐츠 인사이드’ ‘김희경의 73의 예술등 컬럼을 연재한다. 저서로 문화,on&off 일상(공저), 문화,정상은 없다(공저), 브람스의 밤과 고흐의 별이 있다.


이름남완석
프로필

우석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부 교수, 영화 평론가.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 한국 영화학회 이사, 국고 지원 국제영화제 평가위원, 부산국제영화제 피프레시 심사위원 역임. 역서로 클라시커 50 영화, 클라시커 50 영화감독, 열정의 시선: 인지주의로 설명하는 영화 그리고 정서등이 있다.


이름문학산
프로필

부산대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이며 영화평론가이다. 1997년 스포츠 서울 신춘문예로 장선우론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으며, 젊은 비평집단과 한국영화평론가 협회에서 활동하였으며 2001년부터 전주국제영화제 비평가 주간의 단편 심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0인의 영화 감독 연구> (2004), <한국 단편영화의 이해>(2007), <한국 독립영화감독 연구>(2010) 등 저서가 있으며, 장편 영화 <심야토론식 연애>(2007), <다대포 극장>(2014)를 연출한 바 있다.


이름박유희
프로필

고려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교수, 영화비평가이자 한국영화사 연구자

영화사의 맥락과 서사장르의 관계망 안에서 현재 영화의 위상과 의미를 묻는 비평을 하고 있다.

<디지털시대의 서사와 매체>, <서사의 숲에서 한국영화를 바라보다>,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1~5(공저) 등의 책을 냈다.


이름박태식
프로필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원, 국제영화평론가연맹 회원, 19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심사위원, 현재 성공회대학교 교수. 저서 영화는 세상의 암호1, 2, 3.


이름서곡숙
프로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테크노파크(산업자원부 산하 기관)에서 문화산업 정책기획 선임연구원, 팀장, 실장으로 근무하였다. 현재 청주대학교 교수로 있으며,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총무이사,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의 웹진 르몽드 시네마 아카데미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 코미디와 패러디, 코미디와 가면, 영화와 N세대등이 있다.


이름송연주
프로필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문화톡톡' 필진으로 참여했고, 현재 '시네마크리티크' 필진으로 활동 중이다. 공저로 문화, on&off 일상, 영화와 배우가 있다.


이름심영섭
프로필

대구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한국영상응용연구소 소장. 한국영상영화치료학회 회장. 심영섭아트테라피 고문. 영화평론가. 1966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8년에 씨네21영화평론가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한국사진치료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영화치료의 이론과 실제등이 있다.


이름안숭범
프로필

경희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문화콘텐츠 전공)이자 영화평론가. 시인. 대학부설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소장. EBS <시네마천국>을 진행했으며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총무이사,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사무국장을 지냈다. 부산국제영화제 심사위원,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심사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SF, 포스트휴먼, 오토피아(2018), 환멸의 밤과 인간의 새벽(2019) 등이 있다.


이름안치용
프로필

ESG연구소장, 지속가능청년협동조합 바람이사장. 대학, 산업계, 시민사회, 공공기관 등 여러 장에서 ESG와 지속가능성을 의제로 토론하고 확산하는 활동을 한다. 지속가능성, 현실정치, 영화, 문학, 무용, 신학 등을 주제로 여러 매체에 글을 기고 중이다.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원. 경영학 박사. 전 경향신문 기자. 코로나 인문학등 약 40권의 저역서가 있다.


이름양경미
프로필

영화평론가, 영화학박사, 연세대학교 겸임교수, 한국영상콘텐츠학회 회장, 한국영상콘텐츠산업연구소장, )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직무대행, ) 영화진흥위원회 예술영화인정진흥소위원회위원, )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등급분류심의위원, ) 한국영화학회 재무이사, )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연극영화과 교수 및 학과장. 문화일보, 조선일보, 세계일보, 서울경제신문, 데일리안에 칼럼 기고, 저서 한국영화의 공간(2020), 우리들의 영화 같은 사회(2017), 양경미 교수와 함께 하는 영화이야기(2015), 스크린쿼터로 본 한국영화정책, 한국애니메이션 결정적 순간들, 배우, 신성일.


이름연동원
프로필

영화평론가. 동국대 역사학 박사. 가업 이사, 서울중앙지방법원 상근조정위원. MBC 라디오 <타박타박세계사영화로 역사읽기>에 고정 패널로 출연했고, 저서로 영화로 역사읽기-유럽편, 영화로 역사읽기-미국편, 역사속의 성, 영화속의 젠더, 영화 대 역사등이 있다.


이름유지나
프로필

영화평론가,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여성인권영화제 운영위원, 여성평화 외교포럼 이사 및 검찰인권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스크린쿼터문화연대 이사장, 영화진흥위원회 위원, 공연윤리심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 영화로 세상 보기. 유지나의 여성영화산책, 공저 영화, 나를 찾아가는 여정, 역서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시나리오 작가를 위한 심리학, 말의 색채, 영화의 역사: 이론과 실제등이 있다.


이름육정학
프로필
영화학 박사(동국대학교)이자 영화평론가, 陸 엔터테인먼트 대표.
영남외대, 영남대, 대구교대, 상명대등에서 영화이론 강의.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총무이사, 한국영화학회 홍보이사 역임. 매일신문, 영남일보, 대구일보등의 일간지와  한국일보 M -plus, 일하는멋, 연예정보신문등의 주·월간지에 영화평을 게재. 대종상, 대한민국 영화대상, 부산국제영화제 뉴 커런츠부문상, 서울세계단편영화제, 한국방송대상등을 심사. 연극, 음악, 국악, 무용등의 공연예술 작품을 제작·연출 및 영상디자인을 80 여편 하였다. 저서로는 『 삶과 더불어 읽는 영화리뷰 1, 2 』(2012) 가 있다.

이름이남
프로필

미국 채프먼대학교 닷지 영화 및 미디어예술대학 영화학과 부교수로 한국영화, 아시아영화, 프랑스영화와 영화이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중앙일보 영화담당 기자로 활동하다 2000년 미국 USC 영화대학으로 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연합뉴스할리우드 리포터로 활동했으며, 2020년에 저서 The Films of Bong Joon Ho (Rutgers University Press)를 출간했다.


이름이명희
프로필

영화평론가. 국내, 국제 매체에 기고했으며, 성균관대 등에서 영화를 강의했고, 부산국제영화제 등에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모더레이터 및 통역으로 활동했다. 프리부르영화제 심사위원장(1997), 칸영화제(1998), 안시애니메이션영화제(2000), 베를린영화제(2001), 부산영화제(2009) 피프레시 심사위원, 베를린영화제 넷팩 심사위원(1999)을 역임했다


이름이수원
프로필

영화평론가, 전남대학교 교수.

파리 3 대학에서 영화학 박사학위 취득 후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로 재직했으며 로카르노영화제 등에 심사위원 및 패널로 참가했다. 현재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 회원이며 부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국제경쟁 선정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하루의 로맨스가 영원이 된 도시: 영화로 떠나는 지중해 기행’, 역서로 '스필버그의 말', ‘에리크 로메르: 아마추어리즘의 가능성’, ‘카이에 뒤 시네마: 영화비평의 길을 열다’, ‘발라시네등이 있다.


이름장석용
프로필

영화평론가, 무용평론가, 시인. 중앙대 외국어과와 브레멘 괴테인스티튜트에서 수학하고, 중앙대 신방대학원, 동국대 대학원에서 연극영화를 전공했다.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피프레시 한국본부 회장, 이태리 황금금배상 심사위원, 부산국제영화제 심사위원, 대종상 집행위원, IDO 서울컵조직위원장 역임. PAF 비평상, 올해의 최우수예술인상, 한국문화예술상, 르몽드 영화평론상을 수상했다. 신일고 영어과 교사, 경희대 신문방송학과, 동국대· 서경대 대학원에서 문화비평론을 가르쳤다.


이름정문영
프로필

계명대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이며 영화평론가이다.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대드라마, 스크린플레이, 각색과 영화이론을 비롯하여 현대비평이론에 대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의 웹진 르몽드 시네마 크리티크에 기고하고 있다. 저서로는 『현대 비평이론과 연극』, 『해럴드 핀터의 정치성과 성정치성』, 『해럴드 핀터의 영화정치성』, Pinter at Sixty (공저) 등과, 역서로는 『정신분석학 입문』, 『현대문학이론』(공역), 『각색과 전유』(공역) 등이 있다


이름정민아
프로필

성결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교수, 영화평론가. EBS국제다큐영화제·여성인권영화제 자문위원, 한국영화학회 학술이사, 영화전문 사이트 익스트림 무비편집위원이며,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총무이사를 역임했다. 부산국제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등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공저 봉준호 코드, The Korean Cinema Book, 역서 필름 크래프트: 프로덕션디자이너, 시각문화의 매트릭스등이 있다.


이름정재형
프로필

영화평론가, 동국대 명예교수. 한국영상문화학회,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한국영화학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피프레시 한국본부 회장, 한국영화연구소 소장,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월간 스크린기자, 영화언어편집인, EBS-TV <시네마천국> 사회자, 예술의전당 <예술영화감상> 진행자로 활동했으며, 이데일리, 경기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주간조선, 교수신문등에 영화평과 칼럼을 연재했다. 저서로 영화이해의 길잡이, 정재형교수의 영화강의등이 있다.


이름조유현
프로필

61년 서울 . 성균관대학교 공연예술학 박사. 월간에세이, 자유등에 영화에세이 연재. 한림대 강사, 세명대 산학협력 교수 역임. 현재 늘봄출판사, 월간춤 발행인. 저서 어쩐지 돌연변이(조선일보 논픽션 수상작, 21세기북스)


이름조혜정
프로필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한국저작권보호원 이사. 한국영화평론가협회 25대 회장, 영화진흥위원회 위원, 한국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 한국영상자료원 이사, 가톨릭영화제 조직위원장을 역임했다. 부산국제영화제 피프레시상, 청룡영화상, 부일영화상, 대종상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그리고 영화는 계속된다, 만추, 이만희(공저),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공저), 심훈 문학의 발견(공저)이 있다.


이름주진숙
프로필

현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명예교수. 한국영상자료원 원장, ()여성영화인모임 이사, 아시아나 국제단편영화제 집행위원,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름한옥희
프로필

'그린커뮤니케이션' 대표감독, 영화평론가. 이화여대 대학원을 졸업한 후, 한국 최초로 실험영화제작과 카이두 실험영화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자유베를린대 연극영화과 박사과정에서 수학했고, 공연예술지 객석해외특파원을 역임했다. 대전엑스포 정부관영상 <달리는 한국인><님의 침묵>을 연출했으며, 종합유선 방송위원회 영화심의위원, 서울국제가족영화제 심사위원장, 영상물등급위원회 심의위원, CTN 제작본부장, 환경TV 편성이사 등을 역임했다.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을 지냈고, '올해의 여성영화인'(2012) 공로상을 수상했다


이름황영미
프로필

숙명여대 기초교양학부 부교수,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 소장, 대학교양교육연구소협의회 회장.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을 역임했으며, , 베를린, 부산국제영화제 등에서 국제영화비평가상 심사위원과 국고지원 국제영화제 평가위원(문화체육관광부)을 역임했다. 저서 필름 리터러시, 영화와 글쓰기, 다원화시대의 영화읽기, 공저 봉준호를 읽다,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